설명절에 친척을 만나면 가장 헛갈리는 것이 촌수와 호칭이다.
촌수는 부모와 할아버지 등 '직계' 가족이 기준이 된다. 이후 '방계'쪽으로 1촌씩 더하면 된다.
기본적으로 부모와 자식사이는 1촌, 형제와 자매는 2촌을 더한다. 또 부모는 1, 할아버지는 2, 증조할아버지는 3, 고조할아버지는 4촌을 더하면 된다.
이를 기준으로 삼는다면, '나'를 기준으로 아버지(1)의 형제(2)는 3촌(1+2)이 된다. 할아버지(2) 형제(2)의 자식(1)은 5촌이 되는 것이다.
촌수는 부모와 자식 간의 연결고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짝수는 나와 같은 항렬이고, 홀수는 나의 윗 항렬이거나 아래 항렬이다.
친인척을 부를 때 종종 촌수로 호칭을 대신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는 '어느 세대'에 속하는지 '어떤 관계'의 사람인지 분명히 하지 않다.
반면 호칭은 조(祖)·숙(叔)·형(兄)·질(姪)·손(孫) 등으로 세대를 표시하고 종(從)·재종(再從)·삼종(三從) 등으로 친한 정도를 나타낸다.
조는 할아버지와 같은 항렬을 뜻하고 숙은 부모, 형은 나, 질은 나의 자녀, 손은 나의 손자와 같은 항렬을 의미한다. 종은 4촌을 뜻하는 것으로 재종은 6촌, 삼종은 8촌이다.
이러한 촌수에 따라 호칭도 달리한다.
아버지의 형은 큰아버지(백부), 큰아버지의 부인은 큰어머니(백모), 아버지의 남동생은 작은아버지(숙부), 작은아버지의 부인은 작은어머니(숙모)라고 부른다.
어머니의 남자 형제는 외삼촌(외숙), 외삼촌의 부인은 외숙모고 어머니의 여자 자매는 이모, 이모의 남편은 이모부라 부른다.
아버지의 사촌형제는 종숙(당숙)이라고 부르면 되고 아버지의 사촌누이는 종고모(당고모), 아버지의 육촌형제는 재종숙(재당숙) 등으로 호칭한다.
결혼으로 새 가족이 생기는 경우 약간 헛갈릴 수 있다.
여자의 경우 남편을 '그이' 또는 '저이' 등으로 부른다. 아이를 낳은 후에는 '아비'나 '아범'이라고 부르는 것이 적정하며, 친정 식구들 앞에서는 '그 사람'이나 '남편' 등으로 부르면 된다.
남편의 손위 형제들은 '아주버님', 손아래 형제 중 결혼한 형제는 '서방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도련님'으로 부른다. 남편 형의 아내는 '형님', 남편 동생의 아내는 '동서'라고 말한다.
남편의 누나는 '형님', 여동생은 '아가씨'로 부르는데 남편 누나 또는 여동생의 남편은 '~서방님, 고모부'로 부른다. 아이들에게는 '고모' 또는 '고모부'라고 하면 된다.
결혼한 남자는 아내를 친가에서는 '어멈'이나 '그 사람', '~어미'로 칭하고 처가에서는 '집사람', '안사람' 등으로 부르는 것이 맞다.
남자들은 결혼을 해도 아내와의 서열에 따라 대접하지 않고 자신과 연령차이로 상대하게 된다. 손위 처남이나 처삼촌, 손위 동서라도 나이가 비슷하면 친구로 사귀는 것이 일반적이다.
형의 아내는 '형수님'으로 부르고 남에게 형수를 말할 때는 '형수씨'라고 한다. 동생의 아내는 '제수씨'라고 부른다.